-
온라인 간편예약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진료예약 서비스는 신청 후 병원에서 확인 전화를 드린 후로 예약이 확정되는 서비스입니다. 휴무일 또는 업무시간 외 신청하는 예약 건은 정상업무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확인전화를 드립니다.
* 주의 ) 확인 전화가 가지 않으면 예약이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니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25-07-30
484
소아정형외과 전문의가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맞춘 정밀한 진단과 치료를 하는 두발로병원에서 아이가 까치발을 드는 이유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까치발 걸음, 모두 걱정해야 할까요?
어린아이가 까치발로 걷는 모습은 비교적 흔하게 보입니다.
보호자 입장에서는 혹시 다른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 걱정하게 되지만, 대부분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특발성 까치발로 분류되며 성장 과정 중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아이가 의식하지 않고 까치발로 걷더라도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다면 정상 발달의 일부일 가능성이 큽니다.
2. 대부분은 정상 발달의 일부입니다
까치발 보행은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아정형외과 진료 경험에 따르면, 대부분의 아이들은 뇌성마비나 근육질환과는 무관하며, 병적인 상태와 연결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또래보다 걷는 시기가 늦지 않고, 혼자 똑바로 걷거나 뛸 수 있다면 심각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3. 드물지만 고려해야 할 원인들
아킬레스건 단축: 발뒤꿈치를 들고 걷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종아리 근육 단축: 장딴지 근육이 짧아지며 발뒤꿈치를 땅에 붙이기 어렵습니다.
뇌성마비(CP): 매우 드물지만 긴장성 근육 마비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근육질환: 근육 디스트로피 등 진행성 근육 질환이 까치발 보행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ASD): 감각 추구 행동으로 까치발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경계 이상: 극소수에서는 신경 이상에 의한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4. 치료가 필요한 경우는 언제인가요?
보통은 성장하면서 저절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까치발 상태가 2~3세 이후에도 지속되거나, 다른 증상(예: 보행 불균형, 잦은 넘어짐, 다리 통증 등)이 동반된다면 정밀 검진이 필요합니다.
아킬레스건이나 종아리 근육이 유독 짧은 경우, 보조기 착용, 물리치료, 보툴리눔 독소 치료(보톡스), 드물게는 수술적 교정까지 고려할 수 있습니다.
5. 정확한 진단을 위해 필요한 검사
두발로병원에서는 단순한 보행 관찰 외에도 하지 근육 길이 측정, 관절 가동 범위 검사, 신경학적 평가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원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필요 시 전신 근골격계 및 신경계 질환 여부를 감별하기 위한 검사를 병행하며, 모든 검사는 성장 단계에 맞춰 진행됩니다.
FAQ
Q. 아이가 까치발을 자주 하지만 잘 걷고 뛰어요. 치료가 필요한가요?
A. 혼자 잘 걷고 뛰며, 또래와의 발달 차이가 없다면 대부분 정상 발달의 일환입니다.
관찰 위주로 지켜보되, 3세 이후에도 지속되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Q. 까치발이 있으면 자폐증일 수 있나요?
A. 일부 자폐스펙트럼 아동에게 까치발 보행이 동반되기도 하지만, 까치발이 곧 자폐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단독 증상만으로는 자폐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