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간편예약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진료예약 서비스는 신청 후 병원에서 확인 전화를 드린 후로 예약이 확정되는 서비스입니다. 휴무일 또는 업무시간 외 신청하는 예약 건은 정상업무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확인전화를 드립니다.
* 주의 ) 확인 전화가 가지 않으면 예약이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니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25-07-18
499
서울대 출신 정형외과 전문의 4인이 족부질환을 집중적으로 진료하는 두발로병원에서 외반증과 내반증의 차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무지외반증, 소건막류… 용어가 헷갈린다면 주목해주세요.
발가락 변형에 대해 찾아보다 보면 '외반'과 '내반'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특히 엄지발가락이 휘는 무지외반증과 새끼발가락이 휘는 소건막류(내반증)는 이름과 증상이 비슷해 보여 혼동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두 질환은 변형 방향과 원인이 다르므로, 정확한 구분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외반(Valgus)과 내반(Varus)은 무엇이 다른가요?
정형외과에서 '외반'과 '내반'은 관절의 변형 방향을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기준이 되는 신체 중심선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뼈가 휘면 '외반', 중심선과 가까워지는 쪽으로 휘면 '내반'이라고 합니다.
* 외반(外反): 바깥으로(外) 뒤집힌다(反)는 뜻입니다. 예)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두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는 변형입니다.
* 내반(內反): 안으로(內) 뒤집힌다(反)는 뜻입니다. 예) 소건막류(새끼발가락 내반증)는 새끼발가락이 네 번째 발가락 쪽으로 휘는 변형입니다.
3. 무지외반증과 소건막류의 원인입니다.
* 무지외반증의 원인: 발볼이 좁고 굽이 높은 신발을 자주 신는 후천적 요인이 가장 큽니다. 평발이거나 유전적으로 관절이 유연한 경우에도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소건막류(내반증)의 원인: 무지외반증과 마찬가지로 발볼이 좁은 신발이 주된 원인입니다. 또한, 좌식 생활 습관으로 인해 새끼발가락 쪽이 바닥에 계속 눌리고 자극받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두 질환 모두 변형된 관절 부위가 신발에 계속 마찰되면서 굳은살이 생기고 빨갛게 부어오르며 통증이 발생합니다.
* 무지외반증: 엄지발가락 뿌리 부분의 관절이 바깥으로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합니다. 심해지면 다른 발가락의 변형이나 발바닥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 소건막류: 새끼발가락 뿌리 부분의 관절이 튀어나와 통증을 유발합니다. 통증으로 인해 걸음걸이가 변형될 수도 있습니다.
5.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X-ray 촬영을 통해 발가락 뼈가 휘어진 각도를 측정하여 변형 정도를 정확하게 진단합니다.
초기에는 발볼이 넓고 편한 신발을 착용하고, 교정기나 특수 깔창을 사용하는 등 보존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해 보행에 어려움이 있거나 변형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
어나온 뼈를 깎고 뼈의 정렬을 바로잡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각 질환에 맞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무지외반증과 소건막류가 같이 생길 수도 있나요?
A1. 네, 그렇습니다. 발볼이 좁은 신발을 오래 신는 등 두 질환의 발생 원인이 유사하기 때문에, 무지외반증과 소건막류가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Q2. 수술하면 재발하지 않나요?
A2. 성공적인 수술을 통해 뼈의 정렬을 정확히 교정하면 재발률은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수술 후에도 발에 맞지 않는 불편한 신발을 계속 신는 등 잘못된 생활 습관을 유지하면 재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