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간편예약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진료예약 서비스는 신청 후 병원에서 확인 전화를 드린 후로 예약이 확정되는 서비스입니다. 휴무일 또는 업무시간 외 신청하는 예약 건은 정상업무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확인전화를 드립니다.
* 주의 ) 확인 전화가 가지 않으면 예약이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니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25-07-23
455
소아정형외과 전문의가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맞춘 정밀한 진단과 치료를 하는 두발로병원에서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우리 아기 기저귀 갈 때, 다리에서 ‘뚝’ 소리가 나나요?
신생아나 영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다리를 움직일 때, 엉덩이 관절(고관절)에서 '뚝' 하는 소리가 나거나 무언가 걸리는 느낌이 든다면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대부분 정상적으로 회복되지만, 시기를 놓치면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이 매우 중요합니다.
2.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이란 무엇인가요?
고관절은 공처럼 생긴 허벅지 뼈의 머리(대퇴골두)가, 소켓 모양의 골반뼈(비구) 안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관절입니다.
발달성 고관절 이형성증은 이 고관절이 정상적으로 발달하지 못해, 대퇴골두가 비구에서 살짝 빠져있는 '아탈구' 상태거나 완전히 빠져있는 '탈구' 상태, 또는 비구 자체가 얕게 형성된 불안정한 상태를 총칭하는 질환입니다.
3. 누구에게 더 잘 생기나요? (위험인자)
* 첫째 아이, 여아, 둔위 태아(역아) 출산, 양수 과소증, 가족력 등이 있는 경우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 특히, 신생아를 속싸개로 다리를 곧게 펴서 꽁꽁 싸매는 전통적인 육아 방식은 고관절 탈구를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매우 위험한 행동입니다.
4. 부모님이 확인할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인가요?
* 기저귀를 갈 때 양쪽 다리가 벌어지는 각도에 차이가 있습니다. (탈구된 쪽 다리가 덜 벌어집니다.)
* 허벅지나 엉덩이의 피부 주름 개수나 깊이가 양쪽이 비대칭입니다.
* 다리 길이가 달라 보입니다.
* 다리를 움직일 때 '뚝' 소리가 나거나 걸리는 느낌이 듭니다.
이러한 증상 중 하나라도 의심된다면, 반드시 소아정형외과 전문의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5.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신생아는 뼈가 아직 연골 상태이므로, 의사가 직접 아이의 고관절을 움직여보며 탈구 여부를 확인하는 이학적 검사가 매우 중요합니다.
생후 4~6주 이후에는 고관절 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생후 6개월 이후에는 X-ray 검사로 진단합니다.
치료는 발견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빠를수록 간단하고 효과적입니다.
* 생후 6개월 이전: '파블릭 보장구'라는 부드러운 보조기를 착용하여, 다리를 벌리고 구부린 자세(개구리 자세)를 유지시켜 고관절이 제자리를 찾아가도록 유도합니다.
* 생후 6~18개월: 도수 정복술(수술 없이 뼈를 맞추는 시술) 후 석고 붕대 고정을 시행합니다.
* 그 이후: 시기를 놓칠 경우, 뼈를 절골하는 등 복잡한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영유아 건강검진에서 이상 없다고 했는데 괜찮을까요?
A1. 영유아 건강검진은 기본적인 선별검사입니다. 검진에서 이상이 없었더라도, 이후에 의심되는 증상이 발견된다면 주저하지 말고 소아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밀한 진단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Q2. 아기를 어떻게 안아주는 것이 좋은가요?
A2. 아기를 안을 때는 다리가 M자 모양으로 자연스럽게 벌어지고, 엉덩이와 허벅지를 충분히 받쳐주는 자세가 고관절 건강에 가장 좋습니다. 아기띠나 힙시트를 사용할 때도 이러한 자세가 유지되는 제품을 선택해야 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