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간편예약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상담·예약이 가능합니다.
온라인 진료예약 서비스는 신청 후 병원에서 확인 전화를 드린 후로 예약이 확정되는 서비스입니다. 휴무일 또는 업무시간 외 신청하는 예약 건은 정상업무일 오후부터 순차적으로 확인전화를 드립니다.
* 주의 ) 확인 전화가 가지 않으면 예약이
확정되지 않는 상태이니 문의 주시길 바랍니다.
25-07-23
415
소아정형외과 전문의가 어린이의 발달 단계에 맞춘 정밀한 진단과 치료를 하는 두발로병원에서 소아 X자 다리(외반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1. 아이의 무릎이 서로 부딪혀 걷는다면, 괜찮을까요?
O자 다리와 반대로, 아이가 똑바로 섰을 때 무릎은 서로 붙는데 발목 사이가 벌어지는 'X자 다리' 때문에 걱정하는 부모님들이 계십니다.
X자 다리 역시 대부분 아이들의 정상적인 성장 과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하거나 나이가 들어도 지속된다면 다른 원인은 아닌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 X자 다리(외반슬)는 왜 생기나요?
아이의 다리 모양은 O자 다리에서 점차 곧게 펴졌다가, 만 3~4세경에 일시적으로 X자 다리 형태를 보이는 것이 정상적인 발달 과정입니다.
이를 '생리적 외반슬'이라고 부르며, 대부분 만 7~8세가 되면 자연스럽게 어른과 같은 정상 각도로 돌아옵니다. 이는 성장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이므로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3. 치료가 필요한 병적인 X자 다리도 있나요?
대부분은 정상이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 병적인 외반슬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원인: 구루병(비타민D 결핍), 신장 질환, 외상 후 성장판 손상, 소아 비만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특징: 만 8세 이후에도 X자 다리가 좋아지지 않거나 오히려 심해지는 경우, 양쪽 다리의 휜 정도가 비대칭인 경우,
키가 또래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 등이 해당됩니다.
4.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아이가 걸을 때 무릎이 서로 부딪혀 걸음걸이가 어색해 보이고, 오래 걷거나 뛰면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무릎 통증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릎 관절의 정렬이 바르지 않아 발목과 발에도 영향을 주어 평발이 동반되거나 신발 안쪽이 유독 빨리 닳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5.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하나요?
진단은 아이의 나이와 다리 모양을 관찰하고, 양쪽 발목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루어집니다.
병적인 상태가 의심되면 X-ray 촬영으로 뼈의 정렬 상태와 각도를 측정하고, 원인 감별을 위해 혈액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생리적 외반슬은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합니다.
병적인 외반슬의 경우, 원인 질환에 대한 치료가 우선되어야 합니다.
변형이 심하여 기능에 문제가 될 경우, 성장판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묶어 성장을 조절하는
'성장판 유도술'이나, 뼈를 잘라 각도를 교정하는 '교정 절골술' 등의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X자 다리에 교정기나 운동이 효과가 있나요?
A1. 정상적인 발달 과정인 '생리적 외반슬'에는 의학적 근거가 없는 보조기나 교정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과체중이 원인이라면 체중 조절과 함께 허벅지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Q2. X자 다리를 방치하면 어떻게 되나요?
A2. 정상적인 생리적 외반슬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병적인 외반슬을 방치하면 무릎 관절의 특정 부위에만 압력이 집중되어, 성인이 된 후 퇴행성 관절염이 조기에 발생할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